중세 이전의 옛 사람들은 죽으면 ‘호모투트스’라 해서 몸과 영혼이 한 덩어리 되어 마치 잠을 자는 것과 같은 상태로 있게 된다고 생각했으며,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은 병으로 고통 받고 죽음이 다가와도 그것을 겁내지 않고 저주하지 않았으며 조용히 이를 맞이하였다. 죽음에 대한 개념은 개인 또는 조상의 죄에 대한 신의 벌로서 또는 악마의 유혹에 의해서 병이 생기고 죽는 것으로 생각했다.
죽은 사람이 상하지 않고 잠을 자는 것과 같은 상태로 있다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 그러면서 오랜 동안 사람들은 이 생각을 고집해왔다. 왜냐하면 영혼과 육체가 하나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며, 육체가 썩는 것은 곧 영혼이 소멸되는 것을 의미하며 그렇기 때문에 죽은 자는 잠을 자는 것으로 해석했으며 그래야만 부활이 성립될 수 있게 되기 때문이었다.
이런 죽음에 대한 개념은 과학적인 생각과는 반대된다. 그러나 이 시대의 의학은 생사를 주도할 만큼 발전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결국 종교에 의해서 심판되는 형식으로 죽음이 선고되었다. 즉, 르네상스 이전에는 크리스트교회의 힘이 강했기 때문에 과학적인 사고를 주장한다는 것은 악마의 주장이었으며 악마의 편으로 몰아세웠다. 따라서 사람들이 죽음과 대처하는 것은 오로지 부활과 영생의 믿음만이 유일한 길이었으며 죽음이라기보다는 하나의 심판으로 받아들였던 것이다.
그러다가 중세에 이르러서는 사정이 달라져 사람들은 영혼과 육체를 분리하게 되어 육체는 썩어도 영혼은 불멸한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이런 생각이 널리 퍼져 이를 굳게 믿게 된 것은 중세 전성기였다. 이것이 이른바 영육이원론(靈肉二元論)이며 이 이론이 지지되면서 죽음에 대해서도 현실적인 생각을 하게 되어 죽은 자의 몸은 썩기 시작하고 고약한 냄새가 난다는 것을 인정하고 등장된 것이 마카브르(macabre)이다.
마카브르이란 부패된 시체를 묘사한 그림이나 조각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그렇다면 왜 썩은 시체의 그림이나 조각을 그렇게 중요시 하였을까 하는 의문이 생기는데, 그것은 당시 사람들은 죽음은 지은 죄에 대한 값이라고 생각하였고, 아담이 지은 원죄, 그리고 내가 이 세상을 살면서 지은 죄의 대가라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죄인은 죽는다. 반대로 죽은 사람은 모두 죄인의 상징이기 때문에 부패된 시체를 조각하는 것은 신 앞에 자기가 지은 죄를 겸허하게 고백하는 것으로 여겼다. 또 망자를 위해 열심히 기도하면 그 영혼은 구제된다고 믿었다.
부활 즉 새로운 삶을 위한 행진은 고무적이다. 그래서 삶을 위한 의지와 죽음이 함축성 있게 극복되기를 바라며 만들어낸 것이 마카브르이다. 죽어야만 할 생을 마치고 다시 살아나려는 인간의 다양한 심성의 역사를 나타내는 상징임에 틀림없다. 그래서 중세의 유명한 화가들은 앞을 다투어 마카브르를 작품으로 하였으며 그것을 납골당이나 묘지의 예배당의 벽화로 장식하였으며 고관대작이나 부호들은 석관(石棺)에 자기의 썩어가는 모습을 조각하게 하여 무덤을 장식하는 한편 자기의 죄를 뉘우치고 신에게 자기의 죄를 고백하고 용서를 비는 표시로 삼았다. 즉 죽음은 죄의 징표이며 썩어가는 시체는 죄인의 상징이기 때문에 부패된 시체를 그리고 조각하는 것을 신 앞에 자기가 지은 죄를 겸허하게 고백하는 것으로 여겼다.
바로크 시대에 이르면 과거 수도원이나 공동묘지의 벽에 그려지던 마카브르가 높은 담을 뛰어넘어 사람들의 침실까지 침투하게 된다. 하지만 시체는 더 이상 마카브르가 아니라 산뜻하게 썩은 해골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이 시대의 사람들은 진짜 해골을 구하여 방을 장식하기도 했다. 이를 바니타스(vanitas)라고 하였는데, 이전과는 죽음의 개념이 달라졌다.
즉 중세의 마카브르는 대개 ‘회개’의 상징이거나 신의 명령을 받고 형을 집행하는 죽음의 사자였다. 하지만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의 바니타스는 더 이상 무시무시한 ‘죽음의 사자’의 상징이 아니며, 바니타스는 글자 그대로 옮기면 ‘덧없다’는 뜻이다. 즉 바로크 시대의 바니타스 속의 해골은 ‘죽음의 덧없음’을 상징한다.
바니타스 그림에는 주로 죽음의 불가피성, 속세의 업적이나 쾌락의 덧없음과 무의미함을 상징하는 소재들을 주로 다루었다. 바니타스 그림은 보는 사람에게, 죽음은 피할 수 없는 인간의 운명이라는 것을 생각하고 회개하도록 타이른다. 후기 르네상스 시기에는 초상화 뒷면에 죽음과 덧없음을 상징하는 해골 같은 것을 자주 그렸는데, 바니타스는 이런 단순한 그림에서 발전했다.
바니타스는 1550년경에 독자적인 분야로 발전하여, 1620년경에는 매우 인기 있는 장르가 되었다. 바니타스는 1650년경 쇠퇴할 때까지 주로 네덜란드의 연합주인 레이덴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레이덴은 인간의 죄 많음을 강조하고 윤리적 기준이 엄격하기로 유명한 칼뱅주의 신학의 중심지였다. 일부 바니타스 그림에는 인물도 묘사되어 있지만, 대부분은 몇 가지 전형적인 요소들로 이루어진 순수 정물화이다. 이 시기의 정물화는 어느 하나 의미 없는 것이 없으며, 화려한 그림 속에는 죽음과 허무의 상징들로 가득하다. 또 한 가지 네덜란드 바니타스의 특징적인 것은, 늘 곁에서 사용하는 물건들을 통해 그들의 사고를 반영하려는 시도였다. 늘 죽음과 허무는 술잔과 접시, 과일처럼 우리 곁에 있으니 그 점을 인식하고 현재에 충실히, 욕심을 버리고 살아가라는 상징이다. 아무 말 하지 않는 그림 속 정물이 던져 주는 상징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의 삶의 태도에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네덜란드의 화가 스텐비크(Harmen Steenwyck 1612-1655)는 17세기 네덜란드 바니타스 정물화의 대가로서 ‘정물; 바니타스의 알레고리’(1640)라는 그림을 그렸는데 왼쪽에 강렬한 햇빛이 사선으로 들어오고, 그 사선과 반대의 대각선으로 정물들이 있는데 묘한 긴장감과 안정감이 동시에 느껴진다. 정물들 가운데 제일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역시 두개골이다. 이 바니타스 주제의 근원을 이루는 소품 주변으로 일본도와 조개껍질은 부를 의미하며 시계와 램프는 덧없는 인생의 무상을, 해골은 죽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런 그림이 많이 나옴에 따라 사람들은 별 두려움 없이 두개골을 몸에 걸치고 다니기까지 했던 것으로 그 무시무시한 ‘죽음의 사자’가 한갓 ‘덧없음’의 상징으로 변한 것이다.
이런 바니타스를 항상 몸에 간직하고 다니며 보기 위해 이를 문신으로 몸에 새기게 되었다. 지금은 죽음을 무서워하던 시대로부터 사람들은 반드시 죽는다는 원리에 순응하고 한 걸음 더 나아가 바니타스에 힘을 줌으로써 용맹스러움 또는 경고의 뜻을 나타내는 문신을 새기기도 한다. 이것이 점차 발전하여 군대에서도 천하무적이라는 용맹성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바니타스가 사용되었는데, 이를 처음 사용한 것이 영국의 제17기병대로서 두개골에 대퇴골 두 개를 가로질러 승리와 영광의 상징으로 삼았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백골부대라는 명칭과 두개골의 바니타스를 사용하여 그 용맹성을 나타냈다. 해적들도 바니타스를 사용한 Jolly Rodger를 해적선에 달고 다니면서 자기들의 용맹성을 과시하였으며 함부로 접근하면 살해된다는 경고로 사용하였다. 또 의약이나 농약 분야에서도 맹독성을 지닌 약품 표시에 바니타스를 사용하여 그 사용의 위험성을 나타내고 경고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즉, 이러한 바니타스는 죽은 시체가 부패되어 남은 골격에서 두개골만을 선택적으로 그리거나 조각하여 이른바 죽음을 참수한 미술가들의 작품으로 그 작가의 생각에 따라 참수된 작품의 모양과 의미는 다양화되어 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