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2018년부터 수도권매립지 생활쓰레기 반입 금지에 대비하고 기존 소각로 내구연한 15년을 넘겨 대보수가 필요한 시점으로, 1년 이상 걸리는 대보수 기간 동안 동일 규모의 대체 소각로가 필요해 300톤 규모의 소각시설의 증설이 시급한 상태다. 지금도 자체 처리 능력이 부족해 하루 평균 51톤의 쓰레기를 수도권 매립지로 반출하고 있다. 또 쓰레기 배출량은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추세로 오는 2020년에는 하루 약 100톤의 쓰레기를 처리할 수 없게 돼 자체 처리시설을 갖추지 않을 경우 쓰레기 대란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시는 사업 추진에 앞서 시민들의 의견을 듣기 위해 시민, 전문가들이 참여한 ‘부천시 소각시설 관련 시민협의회’를 구성, 지난해 7월부터 12월까지 6개월간 운영했다. 시민협의회는 소각시설 광역화 증설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면서 쓰레기 감량과 재활용 증대사업을 병행 추진할 것을 건의했다. 또 소각로 증설 시 인근 주민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 대책을 소홀히 하지 말 것을 주문했다. 환경부 권고대로 광역소각로를 건립하면 부천시가 내야 될 사업비는 0원으로, 사업비 부담 없이 100톤의 소각용량을 확보하고 단독으로 소각로를 설치할 때 드는 사업비 340억원을 절감할 수 있다. 또 연간 20억원의 운영비를 절감해 20년을 운영한다고 가정할 경우 400억원의 운영비를 아낄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또한 현재 파주-김포 등 경기도 7개소를 포함해 전국적으로 27개 광역소각장이 운영되고 있다. 부천시는 광역화에 따른 이익을 주변지역 발전을 위한 사업비로 쓸 계획이다. 이와 별도로 광역화 사업 시설비의 10%인 60여억원을 주민편익시설 사업비로 편성해 대장동자원순환센터를 친 시민공간으로 만들 구상이다. 증설되는 소각로 규모는 기존 소각로와 동일한 300톤 1기로 인근 서울 강서구, 안산시와 광역화로 추진한다. 당초 사업에 참여했던 고양시 대신 안산시가 새로운 파트너로 참여한다. 소각로는 별도의 건축물을 짓지 않고 현 소각장 건축물 내 설치된다. 현 소각장에는 2000년 준공 당시부터 향후 300톤 용량의 소각로 1기 증설을 대비해 추가로 처리할 수 있는 규모의 공간을 이미 확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 강서구는 지난해 2월 폐기물처리시설 입지 타당성 조사를 마치고 대장동 인근에 위치한 오곡동을 새 입지로 선정한 상태로, 강서구의 사업 참여가 무산될 경우 이곳에 소각장이 지어질 것으로 보인다. 협약에 따르면 부천시는 사업비 부담 없이 소각시설을 설치·운영한다. 안산시와 강서구가 부담할 사업비는 718억원(국·도비 포함)으로 사업비 전액과 부천시 기여금 및 주민지원기금으로 운영비의 20%를 추가로 부담한다. 또 소각로 증설 후 1년 이상이 소요되는 기존 소각로 대보수 기간 동안 부천시가 우선 사용하는 것으로 해 대보수 기간에 우려 되는 쓰레기 대란에 대비할 수 있게 됐다. 소각로는 처리시설의 밀폐식 설계, 대기오염물질 배출 저감시설 고도화 등의 신기술을 적용해 친환경적인 시설로 건립된다. 구성림 청소과장은 “기술의 발달로 소각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미미해 비록 시민 건강에 직접적인 위해를 주지 않으나, 시민정서상 혐오시설로 인식돼 거부감이 적지 않은 만큼 시민의 이해와 동의가 필요하다”면서 “이를 위해 보다 적극적이고 다양한 방법으로 주민 의견을 수렴해 반영하고, 인근 주민에 대한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지원방법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부천시는 소각시설 광역화 증설사업이 부천·시흥·안산 등 5개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하는 ‘화성시 광역 화장시설 건립’ 사례처럼 시민들의 이해와 협조로 지방자치단체 상호 간에 상생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