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뷰

축농증환자의 30%가 9세 이하...원인과 치료 방법은?

안병춘 기자 | 기사입력 2016/03/27 [10:35]

축농증환자의 30%가 9세 이하...원인과 치료 방법은?

안병춘 기자 | 입력 : 2016/03/27 [10:35]

- 2014년 진료인원 578만 5천명 중 9세 이하가 29.9%(172만 8천명) 차지
- 2010~2014년 평균 진료 환절기인 4월(봄) 107만 명으로 가장 많고, 8월 52만 명으로 가장 적어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2010년~2014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하여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전체 진료인원은 579만 명이었으며, 이중 9세 이하 연령대는 173만 명으로 전체 진료환자의 29.9%를 차지하여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은 9세 이하가 92만 명으로 전체 남성 진료환자의 34.3%로 가장 높았고, 여성도 9세 이하가 81만 명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비동염은 코 주위 얼굴 뼈 속에 있는 빈 공간인 부비동 점막의 염증성 질환으로 축농증으로 많이 알려져 있으며 질병 이환 기간에 따라 급성, 아급성, 만성으로 분류 한다.

<부비동염(축농증) 연령대별 건강보험 진료환자 현황> (2014년) (단위 : 천명, %)


주) 반올림 관계로 총합과 내용의 합이 다를 수 있음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장정현 교수는 9세 이하 연령에서 부비동염(축농증)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9세 이하 어린이는 성인에 비해  면역력이 약해 감기에 잘 걸리고, 부비동의 입구가 성인보다 작기 때문에 코의 점막이 조금만 부어도 더 좁아져 부비동염으로 쉽게 진행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였다.
 

2010∼2014년 평균 부비동염(축농증)으로 병원을 찾은 진료환자  추이를 월별로 분석한 결과, 환절기인 3-4월(봄)과 11-12월(겨울)에 진료환자가 많았고, 7-8월(여름)에 적었다.


<부비동염(축농증) 2010-2014년 평균 건강보험 진료환자 현황>


주) 월별로 중복이용이 가능하므로 전체 환자의 합과 다를 수 있음

장정현 교수는 환절기인 3-4월(봄)과 11-12월(겨울)에 축농증 환자가 가장 많고, 7-8월에 가장 적는 이유에 대해 "부비동염은 감기의 영향을 받는 질환으로 환절기가 되면 감기에 더 많이 걸리기 때문에 환절기에 진료인원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봄에는 수많은 종류의 꽃가루가 날리게 되어 알레르기 비염 등으로 인한 증상이 더욱 빈번하게 나타나게 되어 부비동염으로 이환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된다"고 설명하였다.


2014년 기준 부비동염(축농증) 진료환자를 성별로 살펴보면, 여성(312만 명)이 남성(267만 명)에 비해 약 1.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는 남성 10,535명, 여성 12,472명으로   건강보험 적용 인구를 고려해도 여성이 남성보다 1.2배 많았다.

 

2014년을 기준으로 지역별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를 살펴보면, 광주광역시가 16,333명으로 가장 많았고, 전북이 9,571명으로 가장 적었다.
 
<지역별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 (2014년)(단위 : 명)

한편 부비동염(축농증)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비는 2010년 5,017억 원에서 2014년 5,225억 원으로 2010년 대비4.14% 증가하였으며, 진료비 중 급여비(공단부담금)은 2010년 3,588억 원에서 2014년 3,772억 원으로 2010년대비 5.14%가 증가하였다.


2014년 부비동염으로 인해 입원한 인원 중 9세 이하 연령대가 타 연령대에 비해 수술 진료보다는 비수술 진료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술부분에서는 진료인원수가 50대, 40대, 30대순으로 나타났다.


장정현 교수는 "소아·아동은 성인과 달리 코 안의 조직들이 성장하는 단계에 있으므로 수술적인 치료에 의해 조직의 발육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고, 부비동 자체도 발육이 미약하므로 수술에 의한 외상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장기적으로 얼굴뼈의 성장에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소아·아동은 수술 보다는 비수술 치료가 많다"고 말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장정현 교수의 도움말로 부비동염의 원인, 치료법, 예방 및 관리요령에 대해 알아 본다.
 


❍ 부비동염(축농증)의 원인

급성 비부동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바이러스성 비염에 속발하는 세균 감염으로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한 비점막의 감염이 부비동 점막으로 파급되어 부종을 초래하여 발생한다. ​그 외에 치아감염이나 외상, 악안면기형, 섬모운동이상증, 진균감염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 부비동염(축농증)의 증상

상기도 감염시 발생하는 코 막힘, 콧물을 비롯하여 침범된 부위의 동통, 압통 및 치통이 발생하기도 한다. ​두통 및 안구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전신증상으로는 발열, 권태감, 기면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소아 부비동염의 경우 감기와 같은 증상이 7일 이상 지속되며 점액화농성의 콧물 및 저녁에 심해지는 기침, 미열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부비동염(축농증)의 치료방법

치료 시에는 적절한 항생제를 충분한 기간 동안 사용해야 하며 증상이 소실된 후에도 최소 3~7일간 사용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부비동 내의 염증성 분비물을 배액 및 환기해야 하며 질환이 발생한 선행인자에 대한 교정도 필요하다. 

약물치료에 호전이 되지 않는 만성 부비동염의 경우 수술적인 치료를 고려하게 되는데, 이는 염증이 있는 부비동의 자연공(코와의 연결통로)을 환기와 배설이 가능하게 하고 부비동염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코 안의 구조적 이상을  수술적인 치료로 교정하게 된다.


❍ 부비동염(축농증)의 치료시 주의사항

​비강과 부비동의 배액과 환기를 촉진시키기 위해 국소적인 비점막 수축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정해진 투여 횟수를 지키고 3일 이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 부비동염(축농증)의 예방 및 관리요령

급성 부비동염의 대부분은 바이러스성 비염(코감기)의 합병증으로 발생하며, 콧물, 코 막힘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 생리식염수를 이용하여 코를 세척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집안 공기가 건조해지지 않도록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외출 후에는 손을 잘 씻고 입안을 잘 행궈 내는 것이 도움이 되며 증상이 발생한 경우 병.의원에 내원하여 조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만성 부비동염으로 이행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 도배방지 이미지

포토
메인사진
고양시 3개구 보건소, 2023년 경기도 치매관리사업 평가 ‘3관왕’ 달성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