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뷰

속수무책인 대형 산불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안병춘 기자 | 기사입력 2017/05/15 [10:35]

속수무책인 대형 산불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안병춘 기자 | 입력 : 2017/05/15 [10:35]
최영순 산림조합중앙회 강원지역본부장지난 5월 6일 동해안 강릉과 삼척에서 발생한 산불은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4일 만에 겨우 진화 되었다.

동해안 지역에서 빈발하는 대형 산불은 지형적, 기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결합해 자연재해의 성격이 크지만 이에 대응하는 산불체계가 그동안 미흡했다는 것도 사실이다.

산불을 과거부터 늘 당해오던 인재로 결론은 내리면서도 뭔가 획기적인 처방책을 내놓지 못한 가운데 으레 찾아오는 단골손님을 맞이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이번 강릉, 삼척산불로 인해 총 327㏊가 불탔으며 주택 36동이 불타고 38세대 83명의 이재민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서울 남산 면적(339㏊)와 맞먹는 면적이고 축구장 457개 정도의 크나큰 면적을 잿더미로 만들었으며, 인적·물적인 피해가 그야말로 통고지설(通高之雪)과 양강지풍(襄江之風)의 일구지난설(一口之難設)에 비유함이 적절한 표현인 것 같다.
 
건조한 날씨 속에 강한 바람을 타고 급속도로 확산된 이번 산불의 진화를 위해 4일 동안 투입된 장비는 헬기 99대와 소방차 등 진화차량 155대, 그리고 투입인력은 모두 1만 8,900여명에 이른다고 한다. 
 
이렇게 막대한 규모의 직접투입비와 손실된 가옥이나 불에 탄 나무를 경제적으로 따져보면 전체적인 직·간접적인 손실비용은 엄청나게 늘어날 것이다.  
 
어차피 쏟아 부어야 할 비용이라면, 왜 사후약방문식의 뒤늦은 대책들만 내놓고 있는지 곰곰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대형 산불의 피해를 입은 다음에야 산불예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관련예산도 증액이 되며 진화인력 및 장비에 대한 보강 등의 조치가 뒤따라 일어난다.

필자도 그동안 생각만 했지 이렇다 할 제언이라도 해 봤어야 했는데 엄두를 내지 못한 점에 대해서 더욱 안타까운 심정을 금할 길이 없었다. 이 번 기고를 통해 감히 용기를 내어 대형 산불 예방에 대한 대응 전략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이번 산불도 마찬가지이지만 과거의 대형 산불을 살펴보면 핵심은 두 가지 이다.

첫째는 지리적으로 영동지방이고, 둘째는 바로 강풍에 있다. 대부분 순간 최대풍속이 20m 이상일 때 대규모로 확산되고 있어 대형 헬기조차도 운행에 위험 부담이 클 뿐만 아니라 인력으로는 접근이 불가능하여 그야말로 강 건너 불구경이나 하는 꼴이 되고 마는 것이다. 
 
산불 진화를 위해 투입되는 인력은 산불진화대원·의용소방대원·경찰·군장병·공무원 등이 있다. 우선 봄철(3월~5월)과 가을철(10월~12월)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문제는 맑은 날과 비오는 날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본다.

설상 바람 없는 맑은 날에 산불이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신속하게 헬기를 투입하면 쉽게 확산이 되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빨리 해결점을 찾을 수 있으리라고 본다. 
 
문제는 앞서 언급했듯이 바람 부는 날을 철저히 예측하여 예를 들어 초속 5~10m 정도만 되어도 비상투입 인력을 배치하여 사전에 입산을 통제하는 시스템을 가동하여야만 한다.
 
산림청과 지자체·군·경찰·소방서는 각각 통합인력관리에 협조하여 봄철과 가을철 산불조심 기간에 강풍경보가 발효되면 권역별로 비상투입 인력배치 시스템에 의해 마을마다 정해진 위치에서 철저한 입산자 관리를 위한 경계근무에 돌입하여야 한다. 
 
이렇게 바람 부는 날의 비상근무체계만이라도 철저하게 준수하면 아마, 영동지방의 대형 산불은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산불이 휩쓸고 간 자리에는 지금 한창 가득해야 할 신록이 사라지고 없다. 산불은 한번 붙으면 쉽게 꺼지지가 않는다. 막대한 재산피해를 입히고 안타까운 인명피해도 발생한다.

이제 새로운 정부가 출범의 닻을 힘차게 올렸다. 마침 대선캠프에서 피해현장을 직접 보았기에 그 심각성을 충분히 실감했으리라 생각한다.

새로운 정부에서는 이번 산불을 거울로 삼아 다시 한 번 산불예방, 진화장비 확충, 산불방지인력 양성 및 지속적인 교육훈련 등 대책방안 들을 다시 한 번 점검하고 임업의 정책 변화도 함께 모색해봐야 할 것이다.      
 
  • 도배방지 이미지

포토
메인사진
고양시 3개구 보건소, 2023년 경기도 치매관리사업 평가 ‘3관왕’ 달성
1/2
사람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