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됐다. 무더운 여름밤이면 열대야로 인해 시원한 맥주를 찾는 사람들이 늘어난다. 잠 못 드는 밤 TV 앞 또는 공원에 모여앉아 맥주 한 캔씩 마시는 모습은 정겹게 연상되기까지 한다.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알코올의존치료센터(센터장 이수정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에 따르면 한 달에 25일 이상 음주한다는 답변이 환자의 75%, 11~15일이 13%, 16~20일 6%, 5~10일이 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중독이 됐기 때문에 매일 마시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반대로 매일 술을 마시는 행위가 습관화되면서 알코올중독이 된 것이라고 보는 게 맞다. 알코올의존치료센터 사회복지사 김은영 수녀에 따르면 “최근 알코올의존치료센터를 방문하는 환자들 중 절반이 스트레스로 인해 조금씩 마시던 술이 매일이 되면서 알코올 내성이 생겨 치료를 위해 방문하는 경우”라고 밝혔다. 알코올은 우리 두뇌를 길들여서 한 잔 마시면 다음 잔을 부르고, 조금 마시면 더 많이 마시도록 만든다. 알코올이 ‘대뇌 보상회로’라고 부르는 쾌락중추를 직접 자극하여 음주 행동이 학습되기 때문이다. 때문에 아무리 적은 양이라도 매일 꾸준히 마시는 술은 우리 몸을 변화시키고, 결국 스스로 조절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하는 것이다. 술을 마신다 해서 모두 알코올의존이 되는 것은 아니다. 술을 마셔서 문제가 되는 것은 알코올로 인해 신체적 의존이 생겼을 때이다. 즉 내성과 금단증상이 일어나는 것을 말하는데 내성이란 일정한 음주량으로 만족도를 느끼지 못하여 계속해서 양을 늘리게 되는 현상이고, 금단증상은 음주를 줄이거나 끊으면 생기는 식은땀, 두근거림, 손떨림, 불안 등 신체와 정신적으로 나타나는 불편이다. 의존성 자체와 음주 관련 문제가 심해서 장차 큰 문제가 반드시 올 것이라는 예측을 하게 되는 경우와 음주로 인해 건강에 크게 지장이 생기는 경우는 중증 알코올의존이라고 구분한다. 직장생활이나 대인관계에 문제가 생기거나 충동 행동이 늘어나고 몸을 다치는 등이 해당된다. 우울증을 동반한 알코올의존증의 경우도 중증 알코올의존으로 본다. 이 경우 자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알코올중독인지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알코올의존증 Check List>
다만 자가체크를 해봄에 있어 주의할 점이 있다. 보통 음주자는 자신의 음주 문제를 객관적으로 보지 못 하고 축소해서 말하는 경향이 있으며, 자신이 알코올의존이라는 사실을 쉽게 인정하지 않으므로, 음주자 본인만이 아닌 가족이 함께 점검을 해보는 것이 좋다. 알코올의존증을 치료함에 있어 가장 중심 목표는 의존성을 줄이거나 극복하고 단주 동기를 높이는데 있다.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 술을 끊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알코올은 습관성이 강하기 때문에 의지만으로 단주에 성공하는 것은 쉽지 않다. 알코올의존에서 일어나는 알코올에 대한 갈망과 습관성을 줄이기 위해 항갈망제, 음주억제제 등 단주 보조약을 사용하기도 하며, 우울증, 불안증 등 정신질환이 공존할 때는 정신질환부터 치료하여 알코올의존증을 치료하기도 한다. 또한 단주를 위한 치료 프로그램, 가족과 사회의 협력, 단주 유지를 위한 자조 활동이 모두 필요하다. 알코올의존의 근본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먼저 술과 격리하고 해독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술을 끊으면 심각한 금단현상이 생길 수 있어 입원치료를 하는 경우가 많으나 알코올중독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 시선과 환자의 반발심으로 역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료 역시 신체적 치료에 그쳐 알코올의존증이 재발될 가능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환자와 보호자에게 출퇴근 형식의 낮병동 알코올의존치료센터가 선호되고 있다. 이수정 센터장은 “알코올의존은 조기에 발견할수록 임상 특징에 따라 적합한 치료를 실시할 수 있어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다”며, “타인의 시선이 두려워서, 혼자서 끊을 수 있을 것이라 자신하며 알코올의존증을 키우기보다 하루라도 일찍 치료센터를 방문하여 상담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뉴스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